Surprise Me!

[앵커리포트] '실패' 대신 '비정상비행'으로...당부 이유는? / YTN

2021-10-19 3 Dailymotion

이틀 앞으로 다가온 누리호 발사, 관련해서 최근 당국 브리핑이 있었는데요. 당부 하나가 눈에 띄었습니다. <br /> <br />'실패' 대신 '비정상비행', '발사' 대신 '비행시험'으로 용어를 택해달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어떤 이유일지 자세히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누리호는 우주발사체, 쉽게 말해 로켓입니다. <br /> <br />1.5t급의 위성을, 고도 600~800km 궤도에 올려놓는 걸 목표로 하는데요. <br /> <br />이번 1차에선 실제 지구를 도는지까지 보는 건 아니고 오로지 해당 고도 사이에 물체를 투입할 수 있는지를 보고 성패를 판단합니다. 실제 인공위성은 아닌 같은 무게의 모형이 실리게 되고요. 목표 높이까지 오르는데 900여 초 정도가 걸릴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어떤 비행시험도 성공률 100%를 담보하지 못한다는 겁니다. 특히 각국의 우주산업 초창기에는 실패 확률이 더 높은데요. <br /> <br />구소련과 미국 등 2010년 이전 발사체를 확보한 11개 나라 가운데 단 세 나라만이 첫 번째 시도에서 발사체를 우주로 쏘아 올릴 수 있었습니다. 확률로 보면 27.2%, 미국과 일본, 중국도 처음엔 실패했습니다. <br /> <br />인류 역사상 관련 기술이 가장 진화했다는 2010년대에 들어서도, 2010년부터 작년까지 모두 1,000번의 시도에서 55번은 원하던 결과를 얻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과거 나로호 역시 세 번의 시도가 필요했습니다. <br /> <br />1차에서는 페어링이 제대로 분리되지 않으면서, 또 2차에서는 1단 비행 중 통신이 끊겼고 이후 추락했습니다. 당시 일부 보도에서는 "좌절된 우주의 꿈", "양치기 소년 나로호" 등의 다소 자극적 문구가 사용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말 아무 의미 없는 희생이었을까요? <br /> <br />지금 보시는 화면, 지난 1993년 우리의 첫 발사체 개발과 시험비행 장면입니다. <br /> <br />발사체 높이 6.7m, 비행 고도 39km에 날아간 거리는 77km. <br /> <br />지금과 비교할 수도 없지만, 이 같은 경험이 축적되면서 1997년 KSR 2호, 2002년 3호를 거쳐 나로호, 지금의 누리호 비행시험까지 올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발사체 발사 기술을 '터질락 말락' 이라고 표현합니다. 그 아슬아슬한 경계에서 수많은 실패, 다른 말로는 성공의 어머니들이 만들어지고 있는 건데요. <br /> <br />이번 누리호의 1차 비행 결과와 관계없이, 내년 5월에는 2차 비행이 예정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발사와 실패라는 단어 대신 시험비행, 비정상비행으로 표현하는 이유, <br /> <br />이번 역시 최종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개발 과정의 중요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광렬 (parkkr0824@ytn.co.kr)<br />영상편집 : 박지애<br />VJ 그래픽 : 우희석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11019141536759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